우분투 한국 사용자 모임

환영합니다. 이곳은 우분투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지금 시간: 2010/02/04 목 11:11 pm


새 글타래 올리기 댓글 달기  [ 글: 9 개 ] 
글쓴이 내용
Offline
글올림: 2008/12/12 금 4:49 pm 
회원 아바타
 e-메일  개인정보

가입일: 2008/05/04 일 10:45 pm
글: 299
Attachment:
virtualbox_27-.png
virtualbox_27-.png [ 317.31 KiB | 5509 번 봄 ]

저는 대부분 리눅스를 사용하지만 가끔 윈도우가 필요할 때는 VirtualBox를 많이 애용합니다.
주로 옥션이나 익스플로러 전용 사이트 검색할 때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분투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VirtualBox에 Windows XP 설치하는 방법을 올리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분량이 많아 "VirtualBox 설치와 설정""XP 설치와 공유폴더 만들기" 두 부분으로 나누었습니다.


Attachment:
virtualbox_0-.png
virtualbox_0-.png [ 35.46 KiB | 5579 번 봄 ]

VirtualBox 설치는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로 쉽게 설치 가능합니다.
우분투 저장소에는 virtualbox-ose 버전이 올라와 있는데 VirtualBox에서 USB 기능을 뺀 버전입니다.

USB는 오픈소스가 아니라 함부로 배포(?)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라는데 어차피 가상머신을 돌리기 때문에
그리 필요한 기능은 아닙니다.

위 그림과 같이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를 이용하여 virtualbox-ose를 설치합니다.
설치가 끝나면 [프로그램] -> [보조 프로그램] -> [VirtualBox OSE] 로 프로그램이 등록됩니다.


Attachment:
virtualbox_14-.png
virtualbox_14-.png [ 32.61 KiB | 5567 번 봄 ]

가상머신에 들어가고 나오는 키를 호스트키라 하는데 "오른쪽 Ctrl"이 기본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106키 키보드를 가지신 분은 상관없지만 103키의 경우 오른쪽 Ctrl키가 한자일 경우 문제가 발생하므로
[파일] -> [환경 설정]을 눌러 위 대화상자를 부르고 키를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보통 "메뉴"키나 "왼쪽 Ctrl"을 지정해 주면 편리합니다.

자 이제 본격적으로 VirutalBox에 XP를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Attachment:
virtualbox_1-4.png
virtualbox_1-4.png [ 69.2 KiB | 5582 번 봄 ]

우선 VirtualBox를 실행시키고 그림과 같이 [새로 만들기(N)] 버튼을 눌러 줍니다.


Attachment:
virtualbox_3-.png
virtualbox_3-.png [ 80.8 KiB | 5584 번 봄 ]

[이름]에 "Windows XP" [운영체제 종류]에 "Windows XP"를 선택합니다.


Attachment:
virtualbox_4-.png
virtualbox_4-.png [ 66.97 KiB | 5580 번 봄 ]

가상머신이 사용할 메모리설정 화면입니다.
256M 정도면 충분하며 램이 많으시더라도 512M 이상은 거의 필요하지 않습니다.


Attachment:
virtualbox_5-.png
virtualbox_5-.png [ 86.28 KiB | 5598 번 봄 ]

XP가 사용할 가상 하드디스크를 만들어야 하는데 리눅스 파티션에서 드라이브 파일을 만들고
이를 XP용 하드디스크로 사용합니다.

처음 XP를 설치하므로 [새로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기존 VDI 파일이 있으면 [기존 파일 사용]을 이용해 등록합니다.)


Attachment:
virtualbox_6-.png
virtualbox_6-.png [ 77.83 KiB | 5591 번 봄 ]

가상 하드디스크의 크기를 고정할 것이냐 필요하면 늘릴 것이냐를 묻는데
필요할 때마다 자동으로 늘려주는 "동적 크기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Attachment:
virtualbox_7-.png
virtualbox_7-.png [ 69.41 KiB | 5602 번 봄 ]

가상 하드디스크 크기를 설정하는 대화상자인데 "동적 크기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큰 의미가 없으므로 기본 10G를 사용하면 됩니다.


Attachment:
virtualbox_8-.png
virtualbox_8-.png [ 77.13 KiB | 5602 번 봄 ]

마지막으로 한번 더 확인한 다음 완료를 누르면 XP 사용을 위한 가상머신이 만들어집니다.

가상머신은 새 컴퓨터와 같습니다.
하드도 포멧하고 XP CD를 이용해서 가상 하드디스크에 윈도우를 설치해야 합니다.

다음 편에 "XP 설치와 공유 폴더만들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irtualBox에 Windows XP 설치하고 놀기 2/2


화산폭발 님이 고침 (2008/12/14 일 6:22 pm), 총 8 번 고쳐짐

맨 위로 이동
 

Offline
글올림: 2008/12/12 금 5:00 pm 
회원 아바타
 e-메일  개인정보

가입일: 2008/10/26 일 10:16 pm
글: 842
사는 곳: 논현동
초보자를 위한 GUI 그림 설명이 있는 가이드북... 감사감사합니다.

이런 별명 어떻까요?
"친절한 화산씨" or "친절한 폭발씨" or "친절한 화폭씨" :mrgreen:

_________________
Jesus Christ is God's only provision for man's sin.
Through Him you can know and experience God's love and plan for your life.

_________________
ASUS-M51Vr [ Intel Core2Duo P8600, RAM 3GB, ATI HD 3470 ]
ubuntu-9.10-desktop-i386
2227번째 회원


맨 위로 이동
 

Offline
글올림: 2008/12/12 금 5:01 pm 
회원 아바타
 e-메일  www  개인정보

가입일: 2008/07/30 수 4:19 pm
글: 1346
사는 곳: Seoul, Korea
화산폭발 님의 팁이 오랜만에 폭발했네요. 항상 좋은 팁 감사합니다! 8-)

_________________
재성才誠 LIBERO TOWN blog, TC, Wiki, Twitter

E-mail, MSN, Gtalk jaesung AT liberotown.com
G/W jaesung.kr / coreanlibero@구글웨이브닷컴
IRC 재성 @irc.hanirc.org #ubuntu, Jaesung @irc.ubuntu.com #ubuntu-ko
ASUS F83Vf-VX009V Intel Core2Duo P8700, RAM 4GB, GeForce GT 220M


맨 위로 이동
 

Offline
글올림: 2008/12/12 금 6:02 pm 
 e-메일  개인정보

가입일: 2008/09/17 수 6:46 pm
글: 165
포럼에 들어오면 팁게시판을 자주 옵니다
새 글이 올라오는 빈도가 높지 않음에도
혹시 또 좋은 팁 올라온 거 없나?
하면서 자주 오게 되더군요
화산폭발님의 팁들 정말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프린터가 리눅스에서 인식은 되지만 제대로 동작을 안 합니다
(canon mf8180c 인데 아무래도 리눅스 프린트는 지원되지 않는 것 같더군요)
그런데 virtualbox 를 이용해 windows XP 를 띄우고 usb 를 물려주면 윈도에서 프린트가 잘 됩니다
혹시 저처럼 인식은 되지만 동작하지 않는 프린터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usb 가 지원되는 버전을 설치하셔서 사용하면 프린터를 사용하기가 수월해질 겁니다

그리고 저는 항상 정적크기로 vdi 를 생성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처음 virtualbox 를 사용할 때 사람들이 동적크기로 생성하면 오류가 좀 잦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동적으로는 생성을 해보지도 않았는데 다른분들은 안 그러신가요?
(혹은 예전 버전에서는 그랬지만 지금은 안정적으로 수정된 건가요?)


맨 위로 이동
 

Offline
글올림: 2008/12/13 토 10:22 am 
회원 아바타
 e-메일  개인정보

가입일: 2008/05/04 일 10:45 pm
글: 299
bluelenz 님의 글:
포럼에 들어오면 팁게시판을 자주 옵니다
그리고 저는 항상 정적크기로 vdi 를 생성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처음 virtualbox 를 사용할 때 사람들이 동적크기로 생성하면 오류가 좀 잦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동적으로는 생성을 해보지도 않았는데 다른분들은 안 그러신가요?

글쎄요...
저는 아직까지 동적크기나 정적크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 적은 없었습니다.

그렇다고 괸찮다는 예기는 아니고 문제가 있으신 분이 있기 때문에 나온 말이 아닌가 싶습니다.
USB 버전만 하더라도 제 경우 한 컴퓨터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다른 컴에서는 작동이 잘 안됩니다.

언젠가는 고쳐지리라 생각하고 쓰고 있습니다.
실은 불편한 점이 없어서요...


맨 위로 이동
 

Offline
글올림: 2008/12/13 토 12:40 pm 
회원 아바타
 e-메일  개인정보

가입일: 2008/05/04 일 10:45 pm
글: 299
하노스 님의 글:
이런 별명 어떻까요?
"친절한 화산씨" or "친절한 폭발씨" or "친절한 화폭씨" :mrgreen:

하노스님과 coreanlibero님이 저를 몸둘바 모르게 하시네요 ^^;;;;

실은 화산폭발도 실제 저의 별명이에요 !
별명을 아이디로 사용하고 있는데 또 별명을 지어주시는군요 :P

뜨거운(?)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맨 위로 이동
 

Offline
글올림: 2008/12/14 일 3:46 pm 
 e-메일  개인정보

가입일: 2008/07/29 화 1:48 pm
글: 34
동적 크기 설정에 관해 한마디 하고 지나갑니다.
(제가 알기론,)

동적 크기 설정을 하더라도, 가상 디스크 파일의 용량이 실제 사용한 용량에 따라 가변이 되지만,
최대용량은 역시 저기 위에서 설정한 가상 디스크 용량으로 제한이 됩니다.
만약 5GB 짜리 동적 디스크라하면,
디스크를 5 GB 사용하고 나면, 더 이상 커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디스크 용량은 동적이든, 고정이든 잘 고려하셔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제 경우, 어차피 XP 용으로 10 GB 를 할당하고 나머지는 데이터는 모두 다른 파티션으로 우분투와 공유한 FAT32 파티션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맨 위로 이동
 

Offline
글올림: 2008/12/15 월 8:38 am 
 e-메일  개인정보

가입일: 2008/05/26 월 8:48 am
글: 166
참고하세요.
저도 버박에 윈도우비스타, 윈도우XP 둘다 설치를 하였습니다.
설치만하고 사용은 하지 않습니다. 전 버박이 아닌 범웨어(vmware)를 사용합니다.
범웨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윈도우 guest OS에서 command창으로 ftp서버로
연결할때 ftp접속은 되지만 file리스트가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버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일반 ftp프로그램을 설치해서 passive모드를 사용하면 되겠지만 그럴 상황이
아니라서요... command창에서 ftp파일 리스트만 잘 보인다면 저도 버박을 사용하는건데..
아쉽게도 범웨어만 command창에서 파일 리스트가 보이내요....


맨 위로 이동
 

Offline
글올림: 2009/06/23 화 4:06 pm 
 e-메일  개인정보

가입일: 2009/05/18 월 3:47 pm
글: 1
blueball81 님의 글:
동적 크기 설정에 관해 한마디 하고 지나갑니다.
(제가 알기론,)

동적 크기 설정을 하더라도, 가상 디스크 파일의 용량이 실제 사용한 용량에 따라 가변이 되지만,
최대용량은 역시 저기 위에서 설정한 가상 디스크 용량으로 제한이 됩니다.
만약 5GB 짜리 동적 디스크라하면,
디스크를 5 GB 사용하고 나면, 더 이상 커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디스크 용량은 동적이든, 고정이든 잘 고려하셔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제 경우, 어차피 XP 용으로 10 GB 를 할당하고 나머지는 데이터는 모두 다른 파티션으로 우분투와 공유한 FAT32 파티션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디스크 용량을 한번 결정하면 그이상 늘어나지도 않고 변경도 할 수 없는 것이 정상이죠.
그런데 약간 꼼수이기는 합니다만 디스크의 용량을 바꾸는 방법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처음에 10GB만 할당했다가 디스크가 꽉차서 방법을 여기저기 찾아봤는데 힌트가 될만한 것들은 있었지만 정확한 해결책은 없더라고요...
그래서 이래저래 해보다가 거의 이틀만에 해냈습니다.ㅋㅋㅋ
원리는 간단해요.
새로운 가상 디스크 하나를 원하는 용량으로 추가하고 그 디스크로 부팅이 가능하도록 만든다음 기존 C드라이브를 디스크 카피 툴로 복사해준 다음 새로운 디스크를 프라이머리 마스터로 지정하는 것이지요

1. 새로운 가상 디스크 만들기
1) 우선 VirtualBox 를 실행하셔서 "파일>가상 디스크 관리자"를 통해서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하나 만듭니다.
2) 그리고 설치된 Windows XP 가상머신이 꺼진 상태에서 설정 메뉴를 통해 새로 만든 하드디스크를 마운트합니다.
3) Windows로 부팅하시면 새로운 디스크를 자동으로 인식합니다.

2. 새로운 디스크를 부팅 가능하도록 만들기
1) "제어판>관리도구>컴퓨터관리>디스크관리"로 들어가시면 "디스크 초기화 및 변환 마법사"가 자동으로 뜹니다. 여기서 아무것도 건드리지 말고 계속 "다음"을 눌러서 완료합니다. 그러고 나면 간혹 초기화가 안되었다고 나올 수도 있는데 그러면 디스크 관리 창에서 오른쪽 아랫부분에 보면 디스크0, 디스크 1, ... 이라고 나와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 중에 새로 추가된 디스크는 검정색 선으로 표시되어 있을 것입니다. 초기화가 안되어 있을 경우에는 디스크 아이콘에 빨간색으로 주의 표시같은게 있을 겁니다. 그런 경우 오른클릭하셔서 초기화를 다시 한번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
2) 그리고 나서 검정색 선으로 되어있는 부분에 오른클릭해서 "새 파티션"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또 마법사가 뜨죠.. 여기서 역시 계속 "다음"을 눌러주시면 되는데 주의할 점은 파티션 형식을 선택하는 부분에서 "주 파티션"으로 선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시간이 오래 걸리니깐 파른포맷으로 하면 좋겠죠..
3) 그렇게 하면 검전색 선이 남색으로 바뀌면서 창 위에 새 볼륨이 생성됩니다. 다시 남색 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오른클릭하고 "파티션을 활성화로 표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창 윗부분에 다음과 같이 나타나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 디스크로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 (D:) 파티션 기본 NTFS 정상 (활성) ... ...

3. 기존 C드라이브를 새로운 드라이브로 디스크 카피 합니다.
1) xxclone이라는 프로그램을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합니다.
http://majorgeeks.com/downloadget.php?id=5534&file=1&evp=397ff997db03ff62a677f61990af78a2
*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만 그냥 파일 복사가 아닌 디스크 vs 디스크 복사를 하셔야 합니다.
2) Source Volume을 C:로 잡고 Target Volume을 새로운 디스크로 잡으신 후 Start 합니다. 데이터 양에 따라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4. 마스터 드라이브를 새로운 디스크로 교체합니다.
1) 가상 윈도우 머신을 종료합니다.
2) 설정 메뉴를 통해 프라이머리 마스터에 새로운 디스크를 설정해주고 기존 디스크는 마운트 해제 합니다.

5. 다시 가상 윈도우 머신을 부팅합니다.

새로운 용량의 C드라이브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끝.


맨 위로 이동
 

예전 글 보기:  정렬 순서  
새 글타래 올리기 댓글 달기  [ 글: 9 개 ] 


접속중인 사람

이 포럼에 접속중인 사람: 가입한 회원 없음, 손님 2 명


이 포럼에서 새 글타래를 올릴 수 없습니다.
이 포럼에서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
이 포럼에서 자신의 글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 포럼에서 자신의 글을 지울 수 없습니다.
이 포럼에서 파일을 첨부할 수 없습니다.

찾기:
포럼 이동:  
Powered by phpBB © 2000, 2002, 2005, 2007, 2010 phpBB Group  
Design By Poker Bandits  
translated by ubuntu-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