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치를 만들고 Merge하는 것을 어디에 써먹어야 할까? 이 절에서는 Git의 브랜치가 유용한 몇 가지 Workflow를 살펴본다. 개발 과정에 여기서 설명하는 Workflow를 적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Git은 꼼꼼하게 3-way Merge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한 브랜치를 다른 브랜치와 여러 번 Merge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 그래서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용도에 따라 브랜치를 만들어 두고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정기적으로 브랜치를 다른 브랜치로 Merge한다:
이런 접근법에 따라서 Git 개발자가 많이 선호하는 Workflow가 하나 있다. 배포했거나 배포할 코드들만 master 브랜치에 Merge해서 안정 버전의 코드만 master 브랜치에 두고 개발하고 안정화하기 위해 develop이나 next라는 브랜치를 추가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 브랜치는 언젠가 안정 상태가 되겠지만, 항상 안정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 아니다. 테스트를 거쳐서 안정적이라고 판단되면 master 브랜치에 Merge한다. 토픽 브랜치(앞서 살펴본 iss53 브랜치 같은 짧은 호흡 브랜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해당 토픽을 처리하고 테스트해서 버그도 없고 안정적이면 그때 Merge한다.
사실 우리가 얘기하는 것은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에 대한 얘기다. 개발 브랜치는 공격적으로 히스토리를 만들어 나아가고 안정 브랜치는 이미 만든 히스토리를 뒤따르며 나아간다.
3-18. 안정적인 브랜치일수록 커밋 히스토리가 뒤쳐진다.
실험실에서 충분히 테스트하고 실전에 배치하는 과정으로 보면 이해하기 쉽다(그림 3-19).
3-19. 각 브랜치를 하나의 실험실로 생각하면 쉽다.
코드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안정성을 높여가며 운영할 수 있다. 큰 규모의 프로젝트라면 proposed 혹은 pu(proposed updates)라는 이름의 브랜치를 두어 next나 master 브랜치에 아직 Merge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것을 일단 Merge시킨다.
중요한 개념은 브랜치를 이용해 여러 단계에 걸쳐서 안정화하면서 충분히 안정화가 됐을 때 안정 브랜치로 Merge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반드시 긴 호흡의 브랜치를 여러 개 만들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말 유용하다. 특히 규모가 크고 복잡한 프로젝트일수록 그 유용성이 발휘된다.
토픽 브랜치는 프로젝트 크기에 상관없이 유용하다. 토픽 브랜치는 어떤 한 가지 주제나 작업을 위해 만든 짧은 호흡의 브랜치다. 다른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이런 브랜치를 본 적이 없을 것이다. Git이 아닌 다른 버전 관리 도구에서는 브랜치를 하나 만드는 데 큰 비용이 든다. Git에서는 매우 일상적으로 브랜치를 만들고 Merge하고 삭제한다.
앞서 사용했었던 iss53이나 hotfix 브랜치가 토픽 브랜치다. 우리는 브랜치를 새로 만들고 어느 정도 커밋하고 나서 다시 master 브랜치에 Merge하고 브랜치도 삭제해 보았다. 보통 주제별로 브랜치를 만들고 각각은 독립돼 있기 때문에 매우 쉽게 컨텍스트 사이를 옮겨 다닐 수 있다. 묶음별로 나눠서 일하면 내용별로 검토하기에도, 테스트하기에도 더 편하다. 각 작업을 하루든 한 달이든 유지하다가 master 브랜치에 Merge할 시점이 되면 순서에 관계없이 그때 Merge하면 된다.
master 브랜치를 checkout한 상태에서 어떤 작업을 한다고 해보자. 한 이슈를 처리하기 위해서 iss91라는 브랜치를 만들고 해당 작업을 한다. 어쩌면 같은 이슈를 다른 방법으로 해결해볼 수도 있다. iss91v2라는 브랜치를 만들고 다른 방법을 시도해 본다. 확신할 수 없는 아이디어를 적용해보기 위해 다시 master 브랜치로 되돌아가서 dumbidea 브랜치를 하나 더 만든다. 지금까지 말했던 커밋 히스토리는 그림 3-20과 같을 것이다.
3-20. 여러 토픽 브랜치에 대한 커밋 히스토리
이슈를 처리했던 방법 중 두 번째 방법인 iss91v2 브랜치가 괜찮아서 적용하기로 결정을 내렸다. 그리고 아이디어를 확신할 수 없었던 dumbidea 브랜치를 같이 일하는 다른 개발자에게 보여줬더니 썩 괜찮다는 반응을 얻었다. iss91 브랜치는 (C5, C6 커밋도 함께) 버리고 다른 두 브랜치를 Merge하면 그림 3-21과 같이 된다.
3-21. dumbidea와 iss91v2 브랜치를 Merge하고 난 후의 모습
지금까지 했던 작업은 전부 로컬에서만 처리된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한다. 로컬 저장소에서만 브랜치를 만들고 Merge했으며 서버와 통신을 주고받는 일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