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lls":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Bayesian Natural Language Semantics and Pragmatics"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
"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Zeevat, Henk (창순님이 이 책의 존재를 알려준 것이 오늘 발제 고통의 시작!)"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1. Perspectives on Bayesian Natural language Semantics and Pragmatics(이하 BNLSP)"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 computational BNLSP"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
"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베이지안 해석은 signal process라는 AI discipline 테크닉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n", "\n", "우리가 이 베이지안의 확률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 사전분포와 우도가 필요하다. "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예) Tweety flies"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
"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이 짧은 문장에서도 늘상 부딪히게 되는 `모호함`의 문제가 생긴다. 비행기는 아니겠지만 어떤 Tweety인가?! \n", "\n", "\n", "'나 그 사람 알아'와 같은 문장에서는 (텍스트의 어디까지를 참조해야 하는지 결정해야 하기때문에) 대명사의 지시범위가 모호해 질 수 있다. "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2. Human BNLSP"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인지과학에서 인간의 발화를 해석할 때도 BNLSP를 사용할 수 있다. \n", "\n", "지각(Vision)영역에서 쓰이는 것과 비슷한 방법을 사용하는데 `mental camera`를 signal process로 사용. \n", "\n", "* 파이프라인 모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
"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하나하나의 파이프 라인은 각각 다른 데이터 세트(corpus 또는 말뭉치)에 해당한다. 말뭉치 기반의 연구가 확률에 따라 Parsing을 하고 Tree를 그려서 구문을 분석."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
" ] }, { "cell_type": "raw",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 3. 해석의 논리로서의 BNLSP"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 Gricean Maxims(대화의 격률들)"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격률은 지키라고 있는 것인가?! 암튼 살펴보기나 하자"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질의 격률: 진실을 말하라\n", "네가 거짓이라고 믿는 것을 말하지 말라\n", "적절한 증거가 없는 것을 말하지 말라\n", "(예: 다음 대화에서 ‘을’이 함축하는 내용과 직접 관계되는 것이 질의 격률인 것이다.)\n"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n", "양의 격률: 정보를 제공하라\n", "(대화의 현재 목적에) 요구되는 만큼만 정보를 제공하라\n", "너의 말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정보를 담지 않게 하라"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n", "관련성의 격률: 관련성 있게 말하라"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n", "방법의 격률: 명료하게 말하라\n", " \n", " 모호한 표현을 피하라\n", " \n", " 중의성을 피하라\n", " \n", " 간결하게 말하라 (\"불필요하고 장황한 대화를 피하라\").\n", " \n", " 논리정연하게 말하라"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A%B7%B8%EB%9D%BC%EC%9D%B4%EC%8A%A4%EC%9D%98_%EB%8C%80%ED%99%94%EA%B2%A9%EB%A5%A0"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질문) 아래 그림에서 위반하고 있는 격률은?"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
"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이 복잡한 현실 속에서 과연 여기서 어떤 정보를 긁어 모을 것인가?\n", "\n", "Parsing, Consistency and Information"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
"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collapsed": true }, "source": [ "http://www.slideshare.net/YunyaoLi/yunyao767"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정보를 뽑았으면 형식논리학의 도움을 받아서 아까처럼 예쁘게 트리를 그려보자."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
"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음?! 이것은 무엇인가!!!쉬운 것에서 시작"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은 타당한 논증과 추론의 원리를 밝히기 위해 시작됨. \n", "\n", "\n", "(1) Modus ponens\n", " p→q\n", " p\n", " ------\n", " q\n", "(2) Modus tollens\n", "\tp→q\n", "\t~q\n", "\t-------\n", "\t~p\n", "(3) Hypothetical syllogism\n", "\tp→q\n", "\tq→r\n", "\t-----\n", "\tp→r\n", "(4) Disjunctive syllogism\n", "\tp∨q\n", "\t~p\n", "\t-----\n", "\tq\n"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모든'과 '어떤' 등이 들어간 좀 더 정량적인 것도 할 수 있음"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
"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Quantifier_(logic)" ] }, { "cell_type": "markdown", "metadata": {}, "source": [ "뭐 이렇게 통사정보나 의미정보 등등을 의미 화용이라는 주제와 베이지안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겠다는 도입부 요약을 마침니다. \n", "\n", "\n", "\n", "감사합니다. " ] } ], "metadata": { "kernelspec": { "display_name": "Python 2", "language": "python", "name": "python2" }, "language_info": { "codemirror_mode": { "name": "ipython", "version": 2 }, "file_extension": ".py", "mimetype": "text/x-python", "name": "python", "nbconvert_exporter": "python", "pygments_lexer": "ipython2", "version": "2.7.6" } }, "nbformat": 4, "nbformat_minor": 0 }